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러시아-아랍에미리트 관계

덤프버전 :

[ 펼치기 · 접기 ]

6자회담 당사국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
대한민국
파일:북한 국기.svg
북한
파일:미국 국기.svg
미국
파일:중국 국기.svg
중국
파일:일본 국기.svg
일본
유럽
파일:우크라이나 국기.svg
우크라이나
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
벨라루스
파일:몰도바 국기.svg
몰도바
파일:아르메니아 국기.svg
아르메니아
파일:조지아 국기.svg
조지아
파일:아제르바이잔 국기.svg
아제르바이잔
파일: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.svg
트란스니스트리아
파일:압하지야 국기.svg
압하지야
파일:남오세티야 국기.svg
남오세티야
파일:가가우지아 기.svg
가가우지아
파일:몰도바 국기 원형.svg
파일:독일 국기.svg
독일
파일:오스트리아 국기.svg
오스트리아
파일:스위스 국기.svg
스위스
파일:폴란드 국기.svg
폴란드
파일:체코 국기.svg
체코
파일:슬로바키아 국기.svg
슬로바키아
파일:헝가리 국기.svg
헝가리
파일:영국 국기.svg
영국
파일:아일랜드 국기.svg
아일랜드
파일:프랑스 국기.svg
프랑스
파일:네덜란드 국기.svg
네덜란드
파일:벨기에 국기.svg
벨기에
파일:스페인 국기.svg
스페인
파일:포르투갈 국기.svg
포르투갈
파일:이탈리아 국기.svg
이탈리아
파일:루마니아 국기.svg
루마니아
파일:불가리아 국기.svg
불가리아
파일:세르비아 국기.svg
세르비아
파일:크로아티아 국기.svg
크로아티아
파일:슬로베니아 국기.svg
슬로베니아
파일: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.svg
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
파일:북마케도니아 국기.svg
북마케도니아
파일:몬테네그로 국기.svg
몬테네그로
파일:알바니아 국기.svg
알바니아
파일:그리스 국기.svg
그리스
파일:튀르키예 국기.svg
튀르키예
파일:키프로스 국기.svg
키프로스
파일:노르웨이 국기.svg
노르웨이
파일:스웨덴 국기.svg
스웨덴
파일:덴마크 국기.svg
덴마크
파일:핀란드 국기.svg
핀란드
파일:아이슬란드 국기.svg
아이슬란드
파일:에스토니아 국기.svg
에스토니아
파일:라트비아 국기.svg
라트비아
파일:리투아니아 국기.svg
리투아니아
러시아 연방 내 공화국
파일:체첸 공화국 국기.svg [[파일:인구셰티야 공화국 국기.svg파일:러시아 원형 국기.svg파일:아디게야 공화국 국기.svg
아디게야
파일:러시아 원형 국기.svg
파일:북오세티야 국기.svg
북오세티야
파일:러시아 원형 국기.svg
파일:카라차예보-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.svg [[파일:카바르디노-발카리야 공화국 국기.svg파일:러시아 원형 국기.svg파일:다게스탄 공화국 국기.svg
다게스탄
파일:러시아 원형 국기.svg
아시아
파일:대만 국기.svg
대만
파일:몽골 국기.svg
몽골
파일:동튀르키스탄 깃발.svg
위구르
파일:중국 원형 국기.svg
파일:티베트 국기.svg
티베트
파일:중국 원형 국기.svg
파일:미얀마 국기.svg
미얀마
파일:베트남 국기.svg
베트남
파일:태국 국기.svg
태국
파일:말레이시아 국기.svg
말레이시아
파일:싱가포르 국기.svg
싱가포르
파일:인도네시아 국기.svg
인도네시아
파일:필리핀 국기.svg
필리핀
파일:인도 국기.svg
인도
파일:파키스탄 국기.svg
파키스탄
파일:방글라데시 국기.svg
방글라데시
파일:스리랑카 국기.svg
스리랑카
파일:아프가니스탄 국기.svg
아프가니스탄
파일:카자흐스탄 국기.svg
카자흐스탄
파일:우즈베키스탄 국기.svg
우즈베키스탄
파일:투르크메니스탄 국기.svg
투르크메니스탄
파일:타지키스탄 국기.svg
타지키스탄
파일:키르기스스탄 국기.svg
키르기스스탄
서아시아 · 북아프리카
파일:이란 국기.svg
이란
파일:팔레스타인 국기.svg
팔레스타인
파일:시리아 국기.svg
시리아
파일:사우디아라비아 국기.svg
사우디아라비아
파일:이라크 국기.svg
이라크
파일:예멘 국기.svg
예멘
파일:이스라엘 국기.svg
이스라엘
파일:아랍에미리트 국기.svg
아랍에미리트
파일:쿠르드족 깃발.svg
쿠르드
파일:튀르키예 국기.svg 파일:이란 국기.svg 파일:시리아 국기.svg 파일:이라크 국기.svg
파일:바레인 국기.svg
바레인
파일:이집트 국기.svg
이집트
파일:알제리 국기.svg
알제리
파일:튀니지 국기.svg
튀니지
파일:리비아 국기.svg
리비아
파일:수단 공화국 국기.svg
수단 공화국
아메리카
파일:캐나다 국기.svg
캐나다
파일:멕시코 국기.svg
멕시코
파일:과테말라 국기.svg
과테말라
파일:니카라과 국기.svg
니카라과
파일:쿠바 국기.svg
쿠바
파일:도미니카 공화국 국기.svg
도미니카 공화국
파일:베네수엘라 국기.svg
베네수엘라
파일:브라질 국기.svg
브라질
파일:페루 국기.svg
페루
파일:가이아나 국기.svg
가이아나
파일:아르헨티나 국기.svg
아르헨티나
아프리카
파일:에티오피아 국기.svg
에티오피아
파일:소말리아 국기.svg
소말리아
파일:모잠비크 국기.svg
모잠비크
파일:마다가스카르 국기.svg
마다가스카르
파일:기니 국기.svg
기니
파일:말리 국기.svg
말리
파일:부르키나파소 국기.svg
부르키나파소
파일:나이지리아 국기.svg
나이지리아
파일:니제르 국기.svg
니제르
파일:중앙아프리카공화국 국기.svg
중앙아프리카공화국
파일:앙골라 국기.svg
앙골라
파일:짐바브웨 국기.svg
짐바브웨
파일: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.svg
남아프리카 공화국
오세아니아
파일:호주 국기.svg
호주
파일:뉴질랜드 국기.svg
뉴질랜드
파일:바누아투 국기.svg
바누아투
다자관계
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파일:중국 대만 국기.svg [[파일:러시아 국기.svg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인도 국기.svg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몽골 국기.svg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폴란드 국기.svg
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폴란드 국기.svg파일:독일 국기.svg [[파일:러시아 국기.svg파일:러시아 국기.svg [[파일:벨라루스 국기.svg파일:유럽 연합 깃발.svg
유럽 연합
파일:아프리카 연합 기.svg
아프리카
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북한 국기.svg파일:북한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미국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중국 국기.svg파일:대한민국 국기.svg [[파일:러시아 국기.svg
과거의 대외관계
파일:조선 어기.svg
조선
파일:청나라 국기.svg
청나라
파일:영국 국기.svg [[파일:러시아 제국 국기.svg파일:일본 제국 국기.svg
일본 제국
소련





1. 개요
2. 역사적 관계
2.1. 20세기
2.2. 21세기
3. 문화 교류
4. 교통 교류
5. 관련 문서


1. 개요[편집]


러시아아랍에미리트의 관계에 대한 문서이다. 양국은 소련과 수교한 이후부터 교류, 협력이 활발한 편이다.


2. 역사적 관계[편집]



2.1. 20세기[편집]


영국 보호국 트루셜 스테이트는 1971년 12월부로 아랍에미리트라는 국명으로 독립한 이후 같은 해 12월 8일부로 소련과 수교했다.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와 달리 아랍에미리트는 소련과는 수교한 이후부터 협력했다. 1986년에는 아부다비에 주아랍에미리트 소련 대사관이, 1987년에는 모스크바에 주소비에트 UAE 대사관이 개설되었고 2002년에는 주 두바이 러시아 총영사관이 개설되었다. 아랍에미리트는 소련으로부터 무기를 많이 수입했다. 소련 해체 이후, 러시아가 출범하면서 양국은 외교관계를 유지하고 있다.


2.2. 21세기[편집]


양국의 교류와 협력은 2000년대 이후에도 늘어나고 있다. 2002년부로 두바이에 러시아 총영사관이 추가로 개설되었다. 아랍에미리트 내에는 러시아인 공동체가 존재하며 타타르, 바시키르인 등 소수민족 무슬림들도 러시아인 공동체에 속해 있다. 러시아 재벌들중에는 두바이에 거주하는 경우도 많다. 미 싱크탱크 선진국방연구센터에 따르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연관된 최소 38명의 사업가와 정부 관료들은 두바이에 총 3억1400만달러 이상의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.

2021년 4월 7일에 더 타임스는 우크라이나, 벨라루스, 몰도바 출신 여성들이 아랍에미리트에서 누드 모델로 촬영하자 체포돼 추방됐고, 이를 기획한 러시아인 남성도 체포됐다고 보도했다.#

2022년 러시아-우크라이나 전쟁 이후, 러시아가 대러 제재를 받으면서 양국간의 경제교류는 영향을 받고 있다. 유엔에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을 규탄하는 결의안에 아랍에미리트가 기권했다.# 러시아내 상황이 심각해지면서 러시아인들중에는 재벌을 포함해 아랍에미리트로 이주하는 경우가 늘어났다.#1#2#3 대러 제재의 영향을 받고 있는 러시아 재벌들이 아랍에미리트로 이주했다.#

아랍에미리트가 대러 제재의 우회로가 될 것이란 우려가 나오고 있다.#

아랍에미리트 국부펀드 무바달라 투자 회사는 러시아에 60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으나 전쟁으로 인해 러시아 경제가 디폴트 위기에 처하고 채권 가치가 폭락하면서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고 한다.#

러시아 갑부들이 제재를 피하기 위해 터키, 아랍에미리트의 부동산을 사들이고 있다.# 아랍에미리트측은 러시아와 OPEC은 영원한 동맹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.# 그리고 국제 에너지 시장에는 러시아산 원유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.#

두바이가 러시아 갑부들의 제재 안전처로 떠오르고 있다.# 그리고 두바이 부동산이 러시아 자산의 유입으로 큰 호황을 맞았다.#

3. 문화 교류[편집]


양국간 문화 교류가 일부 존재한다. 아랍에미리트내에는 러시아어 화자들이 존재한다. 주 UAE 러시아 대사관은 “UAE에 러시아어를 구사하는 인구가 10만명에 달할 것”이라고 했다. 그리고 아랍에미리트에서도 러시아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.


4. 교통 교류[편집]


양국을 이어주는 항공노선이 존재한다. 러시아와 아랍에미리트는 항공노선을 통해 자주 왕래하고 있다. 셰레메티예보 공항에는 아랍에미리트 항공노선이 존재한다. 아랍에미리트의 주요 항공사들도 러시아로 자주 왕래한다. 러시아인들은 아랍에미리트로 입국할 때 무비자로 입국가능하다. 아랍에미리트는 러시아인들에 대한 비자를 발급하고 있다.#

5. 관련 문서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1-25 09:12:48에 나무위키 러시아-아랍에미리트 관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